반응형
SMALL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은 단연 관계형 모델(RDB, Relational Model)입니다.
관계형 모델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구성 요소부터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릴레이션 모델의 핵심 요소인 튜플, 속성, 도메인, 카디널리티, 디그리 개념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릴레이션(Relation)이란?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2차원 테이블 구조
현실의 정보를 정형화된 형태로 표현한 논리적 데이터 집합
2. 릴레이션의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비유 |
튜플 (Tuple) | 하나의 행(row), 데이터 한 건 | 엑셀의 한 줄 |
속성 (Attribute) | 하나의 열(column), 데이터의 항목 | 엑셀의 열 제목 |
도메인 (Domain) |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 | 특정 열의 데이터 타입 |
카디널리티 (Cardinality) | 튜플의 수 (행 개수) | 테이블 행 개수 |
디그리 (Degree) | 속성의 수 (열 개수) | 테이블 열 개수 |
3. 예시 테이블로 이해해보기
예시 테이블: Customer
customer_id | name | |
1 | 홍길동 | hong@email.com |
2 | 이몽룡 | lee@email.com |
- 튜플: 각 줄 ({1, 홍길동, hong@...}), 총 2개 → 카디널리티 = 2
- 속성: customer_id, name, email → 디그리 = 3
- 도메인 예시:
- customer_id: 정수형
- name: 한글 이름 문자열
- email: 이메일 형식의 문자열
반응형
LIST
'정보처리기사 > 2장 데이터 입출력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계대수 완전 정리 (0) | 2025.04.12 |
---|---|
무결성과 제약조건 완전 정리 (0) | 2025.04.12 |
키(Key)의 종류와 특징 완전 정리 (0) | 2025.04.12 |
데이터 모델과 E-R 다이어그램 완전 정리 (0) | 2025.04.12 |
데이터베이스 설계 절차 (0) | 2025.04.12 |